[스크랩] 임직순
운창 임직순(雲昌 任直淳, 1921-1996)은 1921년 충청북도 괴산군(現 중원군)에서 태어났다. 1936년 渡日, 1940년 일본미술학교 유화과에 입학하여 林武(전 일본대학교 교수) 高野眞實에게 지도 받았다. 1940년에는 일본미술학교 재학 중에 제 19회 선전(鮮展)에 <靜物>을 출품하여 입선하였다. 선전은 식민지정책의 하나로 창설된 미전이었지만, 당시 젊은 화가들이 실력을 겨룰 수 있는 유일한 장(場)이었다. 1941년에는 제 20회 선전에 다시 입선되어 한국인 유학생들 중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
1943년 한국으로 돌아왔고, 1945년 8·15해방 후에는 서울여상, 인천여고 등에서 교편을 잡았고 1956년에는 숙명여중고에서 교편을 잡아 미술교육자로서 화가로서의 행보를 계속했다.
1957년 제 6회 국전 때는 꾸준하게 노력과 부지런함으로 닦아온 그간의 역량을 인정받아 문교부장관상을 거쳐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1961년에는 모든 예술가들이 서울로 오는 추세에 반하여 광주에 조선대학교 교수로 내려갔다. 그곳에서 임직순은 광주의 무등산 풍경, 시골풍경을 주제로 한 주옥같은 작품들을 제작했고 후학을 양성했다.
1967년에 임직순은 한국문예상 미술본상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1968년에는 신세계미술관에서 개인전을 가지면서 당시 MITSUBISHI CORPORATION 서울지사장이었던 中川忍一氏와 인연을 맺게 된다. 中川忍一은 임직순과 꾸준하게 교류를 하면서 작품활동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러던 중 1972년 12월에 동경 교바시(京橋市)에 있는 시모무라 화랑(下村畵廊)에서 개인전을 열면서 일본화단의 주목을 받게 된다. <설경> 등 24점의 작품이 출품된 이 전시를 계기로 운창은 일본에서 개인전 및 교우전 등으로 활발한 활동을 하게 된다.
1973년 5월에는 프랑스에 체류, 그곳에서 작가로서 활동했으며 Monnet & Peterie 화랑에서의 개인전이라는 결실을 맺기도 했다.
1974년에는 14년간의 광주시대를 끝내고 서울로 돌아와 작업을 계속했다.
1976년에는 급성간염으로 4주간 병원에 입원하였는데, 병실에서도 의욕적으로 작업에 몰두하였다. 이 시기를 기점으로 작품은 시각적(視覺的)인 진실에서 심각적(心覺的)인 진실로 탈바꿈하게 된다.
1986년에는 대한민국 문예상 본상 대통령상을 수상했고, 1993년에는 서울시 문화상 미술부문 본상을 수상하였으며, 같은 해, 보관문화훈장 및 문예상 본상 대통령상을 수상하였다.
평생을 성실하고 진실하게 화업(畵業)에 정진함으로써 자기만의 독특한 작품세계를 일구었던 임직순은 1996년에 지병인 심장병으로 生을 마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