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희 집은 3개 언어가 난무합니다.
저희 부모님 경상도 어르신들이라 오리지날 경상도 사투리를 쓰십니다.
그리고 제 아내 전라도 섬 출신이고 고등학교때까지 목포에서 자라서 애써 표준말을 구사하지만 억양자체에서부터 전라도 사투리가 묻어 있습니다. 그리고 특정 단어들은 아직도 전라도 사투리가 남아 있습니다.
그리고 제 아들,딸 초딩남매 입니다. 초딩 언어를 구사하죠
이 모든 언어를 중간에서 정리해주는 사람이 바로 접니다.
전 서울에서 자라서 나름 표준어를 구사합니다. 그리고 경상도 사투리는 워낙 듣고 자란게 있어서 99% 알아는 듣습니다.
전라도 사투리도 처갓집이나 아내를 통해서 많이 들었고 제 친구들도 전라도 출신이 많아서 익숙합니다.
그리고 초딩 언어도 인터넷을 통하던 아이들을 통해서 대충 뜻은 압니다. 그러다 보니 저희 집안에 자연스럽게 제가 통역을 맡아합니다.
평일에는 서로가 바쁘고 다 같이 모일수 있는 시간이 일요일 아침일 경우가 많습니다. 일요일 아침식사 할때 이 3개 언어가 다 나옵니다.

어머니 : 헝우야(아들이름 형우) 낮씻고 잇몸칬나? 아들 : ? 나 : 세수하고 양치 했냐고 아들 : 아 당근 했죠 어머니 : ? 나 : 했데요
딸 : 아빠 나 밥 먹고 컴 해도 되죠? 아버님 : 뭐한다 카노? 나 : 아, 컴퓨터 한데요 아버님 : 송이야, 자꾸 그란거 디다보고 있으면 눈 배린데이 딸 : 네? 나 : 컴퓨터 오래한면 눈 나빠진다고
아내 : 어머니 싱건지 내 드릴까요? 어머니 : 뭐? 나 : 동치미요 어머니 : 치아라 아내 : 네? 나 : 됐데
어머니 : 헝우야 짐 무그라 아들 : 짐이 아니라 김이요 어머니 : 그래 짐 아들 : 김~~~ 이요 어머니 : ... 짐 ~~~~
옆에 계시던 아버지 웃으시면서 쓰러지십니다.
아내 : 아버님 그렇게 오저요? 아버님 : .... 나 : 그렇게 웃기고 좋으시냐고요 아버님 : 하므 아내 : .... 나 : 좋으시데
전 답답해서 한마디 합니다.
" 나 없을땐 대체 대화를 어떻게 하는거야? "
아내가 한마디 합니다.
" 당신이나 답답하지 우린 나름대로 좀 늦어서 그렇지 다 알아들어, 당신이 오버해서 통역하는거야 "
나만 답답한거였구나....ㅎㅎ
[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