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 소호(小湖). 그림은 난초를 잘 그렸으며, 특히 묵란(墨蘭)에 뛰어났다. 글씨는 예서(隸書) ·행서(行書에 능하였다. 작품으로 창덕궁에 있는 《묵란도(墨蘭圖)》《지란정상도(芝蘭呈祥圖)》 등이 있음.
난초만 그린 김응원(1855~1921)이 화단에 등단한 배경에 관한 기록은 없다.흥선대원군이 섭정에 오르기 전에 득의의 묵란을 즐기며 은신할 때부터 어린 종복으로 따라다닌 김응원이 그 뒤에도 계속 개인 수종으로 대원군을 모시며 석파란법石坡蘭法을 스스로 익힌 것으로 전해진다. 석파는 대원군 이하응의 아호이다. 섭정기의 대원군이 주위의 묵란 앙청을 모두 응할 수 없어 김응원으로 하여금 대신 그리게 했다고도 하는데, 김응원의 묵란은 석파란법을 충실히 추종한 바탕 위에 이루어졌으며 후년에는 김정희의 문인화 정신의 묵란법도 본받아 한층 자재로운 경지에서 도달했다. 1910년대에 서울 화단의 대표적인 묵란화가로 알려졌고 서화협회에서 후진에게 묵란법을 가르쳤다. <석란 石蘭>은 대작으로 광대한 의상意想과 묵란 기량이 한껏 발휘된 대표적인 역작이다. 변화무쌍하게 전개되는 기암유곡奇岩幽谷의 경개에 청아한 난초들이 고결한 풍정으로 그려졌고 다른 초화는 일체 배제되었다. 암석의 몽상적 형상은 공간의 깊이와 유현한 분위기를 수반하며 수묵필치, 먹의 농담 변화, 태점의 표현 등이 궁중에 바쳐진 그림답게 필력과 기량을 다한 듯이 보인다.
|
출처 : 시와 공간
글쓴이 : 이만섭 원글보기
메모 :
'翰墨[緣]'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운재 이승우 (0) | 2009.11.25 |
---|---|
[스크랩] 사임당 신씨의 글씨 (0) | 2009.11.25 |
[스크랩] 학정 이돈흥 `퇴계 선생 시` (0) | 2009.11.25 |
[스크랩] 讀山海經1(독산해경1) / 무곡 최석화 (0) | 2009.11.25 |
[스크랩] 소치 허련 전시 (0) | 2009.11.25 |